안녕하세요. 허니보니입니다.
매년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4월말~5월 초 사이에 대기업 순위를 발표하는데요. 오늘은 2022년 우리나라 대기업 순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작년 71개의 대기업이 발표되었는데 이번년도에는 두나무, 크래프톤, 보성, KG, 일진, 오케이금융그룹, 신영, 농심이 포함되며 76개 대기업이 발표되었습니다. 추가된 기업은 8기업인데 왜 5기업이 늘었나 궁금하신 분들 있으실텐데요. 작년에 대기업으로 분류된 IMM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금융, 대우건설이 3기업이 빠졌기 때문입니다.
2022년 대기업 순위 (1~20위)

대기업 1위는 삼성입니다. 계열사수는 2위인 SK에 비해 적지만 공장자산총액이 2배정도 높으며, 작년과 큰 변동이 없습니다. 작년 2위였던 현대자동차는 1순위 밀려 3위가 되었고 작년 3위였던 SK가 반도체 매출 증가, 물적 분할에 따른 신규 설립, 석유사업 성장등에 따라 자산 총액이 증가하여 2위가 되며 상위 5개 기업집단 내 순위가 2010년 이후 최초로 변경되었습니다.
2022년 대기업 순위(21~40위)

2022년에는 해운, 건설, 정보기술(IT) 주력집단들이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해운 수요 회복에 따른 실적 개선으로 에이치엠엠의 자산총액이 작년 8.8조원에서 17.8조원으로 크게 증가하며 자산 총액 순위도 48위에서 25위로 23단계 급등하였습니다. 또한 SM의 경우 10.5조원에서 13.7조원으로, 장금상선의 경우 6.3조원에서 9.3조원으로 자산총액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그리고 활발한 인수,합병으로 건설 주력집단들도 성장하였습니다. 특히, 중흥건설은 자산총액이 9.2조원에서 20.3조원으로 2배 이상 증가함과 동시에 자산총액 기준 순위도 47위에서 20위로 27단계 상승하였습니다.
카카오, 네어버, 넷마블, 넥슨 등 정보기술(IT) 주력집단들은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작년 대비 자산총액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카카오의 자산총액의 경우 2016년도 5.1조원에서 2022년도 32.2조원으로 증가하였으며 자산총액 순위도 6년만에 50단계 급등하여 15위가 되었습니다. 네이버도 2017년 자산총액 6.6조원에서 19.2조원으로 증가하면서 5년만에 51위에서 22위로 29단계 급등하였습니다.

이번에 신규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선정되 기업에 두나무가 있는데요. 두나무라고 하시면 생소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으신데 두나무는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 운영하는 회사입니다. 두나무의 경우 자산총액 약 10조 8,225억원으로 가상가산 거래 회사 중 최초로 대기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2022년 대기업 순위(61~76위)

작년에 대기업으로 분류된 IMM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금융, 대우건설이 3기업이 제외된 이유에 대해서도 궁금하실텐데요. IMM인베스트먼트의 경우 PEF 전업집단으로 지정되어 제외되었고, 한국투자금융는 금융,보험+PEF관련 회사로 분류되어 제외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대우건설의 경우 중흥건설과의 인수,합병으로 중흥건설에 흡수되어 제외되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대기업집단의 상호출자제한, 공시집단 등을 위한 자료를 매년 공개하고 있고, 총자산으로 순위를 매기고 있습니다. 이 순위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하여 대기업집단이 아닌것은 아니며 자산, 당기순이익, 매출액 등 다른 기준으로 책정할 경우 위의 대기업 순위가 변경될 수 있습니니다.
오늘은 2022년 대기업 순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도 유익한 정보되셨기를 바라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손실보전금(600~1000만원 지급) (0) | 2022.05.31 |
---|---|
2022년 연차수당 (0) | 2022.05.30 |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1) | 2022.05.26 |
2022년 출산휴가, 육아휴직제도 (4) | 2022.05.25 |
육아휴직 사후지급금 신청방법 (0) | 2022.05.25 |
댓글